목차
React 와 일반적인 DOM element 에서 이벤트 핸들링의 차이
React에서 이벤트를 핸들링하는 방법은 DOM elements의 이벤트를 핸들링 하는 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아래 가장 기본적인 예시를 보도록 하자.
먼저 일반적인 DOM Element
의 바인딩 하는 방법이다.1
2
3<button onclick="activeLasers()">
Activate Lasers
</button>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같은 역활을 하는 Element를 React Way
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1
2
3<button onClick={this.activeLaser}>
Activate Lasers
</button>
첫 번째 차이점은 React에서는 Event를 CamelCase를 사용하여 표기한다는 점이다.
두번째로 일반적인 DOM에서 이벤트를 바인딩 할 때에는 function을 직접 호출하지만 React는 이벤트를 직접 호출하지않고 function을 지정해주기만 한다.
(즉 function 의 포인터 만 넘겨주고 직접 핸들링하지 않는다.)
return false; 에 관해
DOM element에 이벤트를 바인딩 한 경험이 있다면 return false;
를 많이 사용해봤을 것이다. 이 return false;
의 역활은 브라우저의 기본동작을 막아주도록 동작한다.
즉 event.preventDefault
와 같은 역활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같은 syntax 를 jQuery event handler 안에서 사용할 경우event.preventdefault()
와 event.stopPropagation()
을 동시에 처리해준다.
하지만 React의 경우 return false와 같은 syntax는 아무 동작을 하지 않는다.
반드시 기본동작이나 버블링을 제어할 시에는 명시적으로 event.preventDefault()
event.stopPropagation()
을 작성해주어야 한다.
React 에서 Event를 바인딩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관하여
Event Handler 에서 this
ES6 Class syntax를 사용하여 React Component를 작성한 경우 event handler에서 this는 undefined가 된다. 왜냐하면 javascript에서 this는 호출한 context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만약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아래 문서를 참고하도록 하자.
이러한 this 에 관한 이슈로 인해 this를 이벤트 핸들러가 아닌 클래스에 바인딩 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을 소개해볼까한다.
1. React.createClass
React 의 createClass 메소드를 사용하여 컴포넌트를 제작할경우 react는 모든 함수를 this에 자동으로 바인딩한다.
즉 따로 바인딩 할 필요가 없지만 React.createClass syntax는 조만간 이후 버전의 릴리즈에서 추출 될 수 있으므로 지양하는 것이 좋다.
2. Rendering 시 바인딩1
onChange={this.handleChange.bind(this)}
위와 같이 렌더링시에 바로 this에 바인딩 해주는 방법도 있는데 이는 렌더링이 실행될때마다 새로운 함수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퍼포먼스에 좋지 않다고 한다.
3. Constructor를 통한 바인딩1
2
3
4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handleChange = this.handleChange.bind(this);
}
생성자 함수에서 함수를 바인딩해주는 방법이다. 생성자 호출 될시 한번만 바인딩 되므로 퍼포먼스 이슈가 없고 React에서 권장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데
이벤트 핸들러가 많아지면 바인딩을 못한 휴먼에러가 생길 수 있고 매 번 바인딩을 하는 것은 꽤나 부담스럽고 귀찮은 작업이 될 수도 있다.
4. Class Property 의 Arrow Function 을 통한 바인딩1
2
3handleChange = () => {
}
위와 같은 방법은 가장 심플하게 함수를 클래스에 바인딩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해당 syntax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babel state-2 혹은 transfrom-class-properties 가 추가되있어야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참고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class Bork {
//Property initializer syntax
instanceProperty = "bork";
boundFunction = () => {
return this.instanceProperty;
}
//Static class properties
static staticProperty = "babelIsCool";
static staticFunction = function() {
return Bork.staticProperty;
}
}
let myBork = new Bork;
//Property initializers are not on the prototype.
console.log(myBork.__proto__.boundFunction); // > undefined
//Bound functions are bound to the class instance.
console.log(myBork.boundFunction.call(undefined)); // > "bork"
//Static function exists on the class.
console.log(Bork.staticFunction()); // > "babelIsCool"
위 코드는 babel 공식문서에서 발췌한 코드이다.
Class properties transform · Babel
코드에 있는 설명에는 Property initializer 를 통한 Arrow Function은 Prototype에 추가되지 않는다. 즉, Prototype 에 추가되지 않는 다는 의미는 클래스가 생성될때마다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고 상속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벤트 핸들러는 React Component 중에서도 주로 컨테이너 즉 Statefull Component 에 주로 바인딩 되고 props를 통해서 하위 컴포넌트로 핸들러를 전달한다. 컨테이너 특성상 자주 생성되지 않고 이벤트 핸들러는 일반적으로 상속이 자주 사용되지 않아서 단점보다 auto-binding을 통한 편리함과 장점이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위와 같은 syntax를 자주 사용할 것 같다.
저런 방법 마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react-autobind
, autobind-decorator
와 같은 라이브러리들이 있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SyntheticEvent
React 에서는 DOM 이벤트를 직접다루지 않고 이를 Wrapping한 SyntheticEvent
를 사용한다. 이 SyntheticEvent
를 사용함으로써 브라우저마다 다른 event 객체에 대해 신경쓸 필요가 없다! 즉 크로스 브라우징에 관한 이슈가 해결된다.
SyntheticEvent 에 관한 속성들은 따로 언급하진 않겠다.
DOM 이벤트와 완벽하게 매칭되는게 아니므로 찾아볼 게 있을때는 React 공식문서를 참조하도록 하자.
SyntheticEvent - React